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년 주택 취득세 정리 이거 하나면 끝입니다.

by 휴온빌 2022. 11. 17.
728x90
반응형

2022년 취득세가 얼마인지? 정확히 알기 위해 이번 포스팅을 통해 취득세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발생하는

세금으로 부동산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내가 취득하고자하는 부동산이

어떤것인지 확인 후 세율표를 보시면 더욱 빠르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취득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취득하는건 주택인데요 , 주택을 예를 들면

계약 체결일 30일 이내에 해당 지자체 (시군구)에 부동산 거래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때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자금조달 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고, 투기과열지구의 경우에는

증빙자료 까지 첨부해야 하니  계약전에 미리미리 준비해 놓으면 좋겠죠?

 

중도금을 납부하고, 잔금일에는 60일이내에 해당 지자체에 (시,군,구) 부동산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상속의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 취득세를 납부하면 되구요

그리고 등기소에 소유권이전 등기를 하는 절차를 밟게 됩니다. 

 

 

2022년 기준 취득세율표 입니다. 6억이하의 주택의 경우 취등록세는 1% 여기에

지방 교육세가 0.1%가 붙게 되고 전용면적 85제곱미터를 초과하면 0.2%가 농어촌

특별세로 붙게 됩니다.

 

6억부터 ~9억까지는 취등록세가 차등인데, 6.5억부터 5천만원 단위로 9억대까지

세분화된 취득세를 납부하게 되고, 마찬가지 지방교육세도 01.~ 0.3%에

추가로 85제곱미터 초과시에는 0.2%를 농어촌 특별세로 납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9억 초과 주택은? 취등록세가 3%이며, 지방교육세 0.3%가 붙게 됩니다. 

물론 85제곱미터 이하면 합해서 3.3%이고 초과면 3.5%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시취득이라는건 신축을 하였거나 상속을 받은 경우 2.8%가 취득세이지만

무주택 가구가 주택을 상속 받으면 0.8%가 세율로 적용 됩니다. 

 

 

다주택자나 법인의 경우 취등록세가 중과 되는데, 조정지역과 비조정지역으로 구분 됩니다.

1주택은 금액에 따라 1~ 3% 이지만 2주택 부터는 조정지역내 주택을 취득하면 8%의

취득세를 납부하여야 하고, 3주택의 경우에는 12%의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4주택 마찬가지 12%이며 법인의 경우 조정지역내 주택취득하게 되면 12%의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됩니다

 

무상취득은 뭐냐? 증여 입니다. 조정지역내 증여를 해서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12%의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되는데 10억짜리 주택을 증여 하였다면 1.2억의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하는 셈이죠  . 

 

이렇게해서 2022년 취등록세율과 세율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