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는 피부병과 노화를 예방하는데 필수적인 제품입니다
사실상 로션처럼 매일매일 발라줘도 된다는 말입니다.
자외선 UV는 피부노화는 물론 손상의 주원인으로 ,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을 바르게 되면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화학적 차단제와 물리적 차단제입니다
화학적 차단제란 자외선을 흡수해 화학반응을 통해 열로 변환시키는데, 피부에 잘 스며들어
얼굴이 하얗게 되는 백탁 현상이 적습니다
물리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반사하거나 산란시키는데 주로 이산화티타늄과 산화아연을
포함해 민감 피부에 적합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얼굴에 충분히 발라줘야 하는데 외출 30분 전에 바르는 게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가 흡수되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얼굴이나 목, 귀, 팔등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 꼼꼼하게 발라주면 좋습니다. 특히 이마나 광대, 코의 경우에는 햇빛에 노출이
더 되기 때문에 꼼꼼하게 발라주시면 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한번 바르고 마는 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2~ 3시간마다 덧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땀을 흘리거나 격한 운동을 한 후, 물놀이를 한 후에는
즉시 덧발라 주시면 좋습니다
자외선 자단제는 형태별로 나눌 수 있는데, 크림과 로션 형태는 흡수가 빠르고 보습효과가 있습니다
스프레이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넓은 부위를 바를 때 효과적이고 몸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얼굴에는 손에 뿌려 발라 주시는 게 좋습니다
스틱 / 막대 형태의 선크림은 덧바르기 좋기 때문에 외출 시 가지고 다니면서 2~ 3시간에 한 번씩
덧 발라 주시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메이크업을 하기 전에 미리 바른 후 충분히 흡수된 다음 메이크업을 하시면 됩니다
실내에서도 창문을 통해 자외선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실내에 있을 때도 발라주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에 많이 사용되는 SPF는 썬 프로텍션 팩터의 약자입니다
자외선 차단 지수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 피부의 표피에 영향을 주어 일광 화상 (홍반)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피부암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워낙 지수가 높아 선크림을
제대로 바르지 않으면 피부암이 걸리는걸 종종 볼 수 있습니다
SPF 숫자의 의미
SPF 30은 차단제를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30배 더 오래 자외선에 노출돼도 홍반이 생기지 않는다는
뜻과 같습니다.
SPF30이라면 보통 자외선 노출이 30분마다 홍반이 생기는 사람이 차단제를 바르면 30배인 900분
약 15시간 동안 보호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땀이나 물에 의해 자외선 차단제가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3~4시간에 한 번씩 발라주는 게 좋습니다.
SPF 15 : 약 93% 차단
SPF 30 : 약 97% 차단
SPF 50 : 약 98% 차단
PA는 자외선 A (UVA) 차단지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UVA는 피부 깊게 침투해 피부 노화나 색소 침착
그리고 피부 노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A 지수는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자외선 차단 제품의 UVA 보호
능력을 나타낸다 보시면 됩니다
PA+ 등급 : 자외선 A로부터 약한 보호
PA++ 등급 : 자외선 A로부터 보통의 보호
PA+++ 등급 : 자외선 A로부터 강한 보호
PA++++ 등급 : 자외선 A로부터 매우 강한 보호
자외선 차단제 선택 방법
SPF 30 , PA++ 이상 : 일상생활용 , 일반외출 실내 활동 시
SPF 50, PA+++이상 : 해변이나 등산 스포츠 활동 시에 적합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아이템으로 올바른 제품을 선택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올여름 자외선 차단제 사용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해 , 뜨거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세요
'알면 도움되는 이야기 >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혈종(肝血腫)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2) | 2024.11.15 |
---|---|
좋은 오메가3 선택,섭취,효능 보관방법 총 정리 (1) | 2024.10.31 |
이상지질혈증 이것만 알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1) | 2024.10.30 |
중성지방 수치 낮추는 현실적인 방법 TOP 10 (1) | 2024.10.24 |
역류성 식도염 원인과 증상 그리고 좋은음식 꼭 드세요 (1) | 2022.12.28 |
댓글